비법 1 : but / however / nevertheless가 있는 문장에 주제가 있다
주제는 주로 각 단락의 첫 문장에 나옵니다. 하지만 but, however, nevertheless 등과 같은
의미 전환어구가 나오면 주제는 바로 그 문장에 있습니다. 예를 들면, “인간들은 색채 시력을 즐겼다.
하지만, 그들은 가시광선만 볼 수 있었다”라는 문장들이 주어질 때
주제 문장은 ‘하지만’이 포함된 둘째 문장입니다.
비법 2 : before / after가 나올 때
첫 문장에 before/after가 나올 때 그 이전과 이후의 반대 내용이 나옵니다. 예를 들면,
<19세기 이전에 …하지 못했다>라는 문장이 주어지면 <19세기 이후에 …했다>는 뜻으로서
그 다음에 ‘그에 대한 이유’가 제시됩니다.
비법 3 : until이 나올 때
첫 문장에 until이 나오면 그 이전과 이후의 반대 내용이 나옵니다. 예를 들면,
<19세기까지 …하지 못했다>라는 문장이 주어지면 <19세기 이후에 …했다>는 뜻으로서
그 다음에 ‘그에 대한 이유’가 제시됩니다.
비법 4 : old / new가 나올 때
첫 문장에 old / new가 나오면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의 반대 내용이 나옵니다.
예를 들면, <옛날 의미를 잃었다>라는 문장이 주어지면 그 다음에 옛날 의미에 대한 내용이 나오고
그 다음에 새로운 의미에 대해 언급합니다.
비법 5 : apparently가 나올 때
첫 문장에 apparently(겉으로 보기에는)이 나오면 그 뒤에 ‘실제로는 다르다’는 내용이 나옵니다.
예를 들면, <해면동물은 겉으로 보기에 움직임이 없어서 식물로 간주되었다> 문장이 앞에 나오면
그 뒤에 <실제로는 그러지 않아서 해면동물은 사실상 동물이다>는 내용이 나옵니다.
비법 6 : early가 나오면 그 뒤에 later가 나온다
첫 문장에 early가 나오면 그 뒤에 later류의 단어가 나옵니다. 왜냐하면 초기와 후기는 다르다는 뜻이
내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. 예를 들면, <초기 재즈에서는 공동 연주했다>는 문장이 앞에 나오면
<후기 재즈에서는 그와 다른 솔로 연주했다>는 뜻이 내포되어 있고, 그 뒤에 이런 차이점이 나옵니다.
비법 7 : 생각과 실제의 차이
첫 문장에 “생각하다”, “간주하다”, “가정하다” 류의 동사가 쓰이면 그 뒤에 실제는 그렇지 않다는 내용이 나옵니다. 이런 경우에는 접속사 although와 함께 쓰이기 때문에 대조적 개념임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.
비법 8 : revolution이 나올 때
첫 문장에 revolution(혁명)이 나오면 기존의 것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것을 얻었다는 내용이 나옵니다.
예를 들면, <18세기에 철 생산이 혁명화되었다>는 내용이 나오면 그 뒤에 <17세기에 철 생산이 빈약하게 된 이유>와 <18세기에 철 생산이 비약적으로 늘어나게 된 이유>가 나옵니다.
비법 9 : innovation이 나올 때
첫 문장에 innovation(혁신)이 나오면 기존의 것과 아주 다른 새로운 것의 내용이 나오고 기존의 것과
비교합니다. 예를 들면, <혁신적인 르네상스 소설은 인간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를 전개했다>라는
문장 다음에 <르네상스 이전의 소설은 인간 중심이 아닌 신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를 전개했다>는
내용이 나옵니다.
비법 10 : several / many가 나올 때
첫 문장에 ‘There are several / many … ‘가 나오면 그 다음에 여러 가지를 나열하는 내용이 나옵니다. 예를 들면, "There are several different ways in which …"라는 문장 뒤에는 여러 방법들을
하나씩 나열하는 내용이 나오는 거죠.
비법 11 : 미국의 역사/정치/경제/사회/문화는 시간 순서로 열거
미국의 역사/정치/경제/사회/문화에 관련된 내용은 시간 순서로 나열됩니다. 예를 들면,
<19세기 전반, Harlem은 뉴욕 맨하튼 86번가 위의 모든 것을 의미했다>라는 문장이 나오면
그 다음에 19세기 말, 20세기 초 Harlem의 의미 변화를 나열하는 내용이 나옵니다.
비법 12 : 최상급 문장 다음에는 이유가 나온다
최상급 문장이 나오면 그 다음에 그것에 대한 이유가 제시됩니다. 예를 들면,
<철 운석은 5%밖에 안되지만 가장 쉽게 눈에 띄는 운석의 종류이다>라는 문장이 주어지면
<다른 운석들은 침식되어 없어지지만 철 운석은 단단하기 때문에 침식되지 않고 살아남는다.
그래서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다>는 이유가 제시됩니다.
비법 13 : 사회 현상 / 자연 현상에는 이유가 나온다
사회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나타내는 내용 다음에는 그것에 대한 이유가 나옵니다. 예를 들면,
<쇄도 빙하는 매일 보통 빙하처럼 2인치 정도 움직이는데 쇄도할 때는 100배나 빠르게 움직인다>라는
문장이 주어졌을 때 그 다음에는 그에 대한 이유가 제시됩니다.
비법 14 : 둘째 단락 첫 문장에 but / however 등이 나올 때
둘째 단락 첫 문장에 but / however / nevertheless 등 부정 의미의 접속부사가 나오면 이전
단락 내용과 반대 방향의 내용이 나옵니다. 예를 들면, 첫 단락 내용이
<인간의 시력은 가시 광선만 볼 수 있다>는 부정적 내용이 나오면 but 등이 나오는
둘째 단락에서는 <인간의 시력은 색깔의 미묘한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>는 긍정 내용이 나옵니다.
비법 15 : 고고학적 유적에 관한 내용이 나올 때
고고학적 유적에 관한 내용은 ‘어느 시기의 유적인가’, ‘어떻게 보존됐는가’, ‘어떤 특징을 가졌는가’,
‘현대의 것과 비교할 때 얼마나 비슷한가’ 등을 설명합니다
'공부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능 필수동사 500개 정리 (0) | 2021.11.09 |
---|---|
영어 숙어 총정리 (0) | 2021.11.08 |
IELTS 작문 연습 (0) | 2021.11.07 |
사자성어 412개 모음 (0) | 2021.11.06 |
IELTS 스피킹 연습 (0) | 2021.11.06 |
댓글